이미지

[평가 기준] 포트폴리오를 객관적으로 채점하는 3가지 요소



수행평가는 학생의 활동 과정 및 결과를 직접 관찰하여 평가하는 방법이다. 그 중 포트폴리오 형식은 학생들에게 수업시간에 활동지를 나눠주고, 활동한 내용을 바탕으로 평가하게 된다.
보통 포트폴리오를 수행평가로 구상한다면, '활동지에 빠진 내용 없이 잘 작성했는지', '대충 적지는 않았는지', '잃어버린 활동지는 없는지 등을 주요 채점기준으로 삼는다.  
  
포트폴리오 수행평가의 특성상 교사의 주관이 개입될 수 밖에 없으므로, 학생들의 불만과 이의제기, 민원 등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선 수행평가 점수를 여유있게 부여하는 편이 좋다. 다시 말해, 최소한의 항목만 충족한다면 만점을 주는 방식으로 하는 것과 같이 상향평준화 시킬 것을 추천한다.(포트폴리오 점수를 후하게 주는 대신, 서술형이나 지필고사에서 난이도 조절을 하면 충분히 점수 변별을 할 수 있다.)


1. 충실성


상 - 배부한 학습지의 주제 활동을 모두 성실히 이행하여 제출하였다.
중 - 배부한 학습지의 주제 활동을 70% 이상 제출하였다.
하 - 배부한 학습지의 주제 활동을 70% 미만으로 제출하였다.

  
배부한 학습지가 분실된 것 없이 다 가지고 있는지 체크하는 항목이다. 학기말까지 학습지가 몇 장 정도 나갈지 정확하게 예상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정확한 숫자보단 퍼센트로 제시하는 것이 좋다.  
본인은 학생이 학습지를 분실한 경우에도, 새롭게 인쇄해서 주거나 복사하는 것도 허용하는 편이다. 왜냐하면 이런 부분까지 지나치게 까다롭게 하면 형평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어디까지나 포트폴리오 수행평가의 취지 자체가 학교 수업에 조금만 신경쓰면 만점을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기 때문이다.

2. 핵심 개념

  
상 - 학습지 주제 활동의 내용 중 80% 이상에서 핵심 개념을 반영하고 있다.
중 - 학습지 주제 활동의 내용 중 50% 이상에서 핵심 개념을 반영하고 있다.
하 - 학습지 주제 활동의 내용 중 50% 미만으로 핵심 개념을 반영하고 있다.
 
  
각 교과에서 강조하는 '핵심 개념'이나 '성취 기준' 등을 얼마나 잘 작성했는지 체크하는 항목이다.  이 항목만큼은 핵심 개념을 고려하기 때문에 비교적 주관이 적게 들어가고, 객관적으로 채점할 수 있다. 이를테면, 윤리 교과에서는 사상가들이 주장한 내용이나, 키워드 등을 점검하면 될 것이다.(퍼센트는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조정하여 사용한다.)

3. 논리성


상 - 학습지 주제 활동 중 80% 이상에서 주제에 맞게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표현했으며, 제시된 항목에 맞게 훌륭히 작성하였다.
중 - 학습지 주제 활동 중 50% 이상에서 주제에 맞게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표현했으며, 제시된 항목에 맞게 작성하였다.
하 - 학습지 주제 활동 중 50% 미만으로 주제에 맞게 자신의 생각을 표현했으며, 제시된 항목에 따라 작성하였다.
 
  
수업시간에 학습지 활동을 대충 하지 않도록 내용의 논리성을 체크하는 항목이다. 이 항목을 사전에 공지하여, 학생들이 대충 몇 줄만 적고 제출하지 않을 것을 당부해야 한다.  

처음에 이야기한 것처럼, 포트폴리오는 채점자의 주관이 반영될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글쓰는 솜씨가 부족하지만, 나름대로 최선을 다 한 모습이 보이면 감안하여 후하게 평가하는 편이다.(예를 들면, 어떤 학생이 항상 수업에 집중하고 최선을 다해 학습지를 작성하는데, 내용이 부실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평소 수업에 불성실하고, 내용도 정말 성의 없이 적은 경우 등 누가봐도 확실하게 부족한 경우에 감점한다.